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동차 사고 로드킬 신고 및 대처방법(+굿로드 어플)

by 4kin 2023. 5. 28.
반응형

자동차 사고 로드킬 신고 및 대처방법(+굿로드 어플)

 

 

로드킬 사고 미리 예방할 수 있을까요? 로드킬 사고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매년 도로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교통사고 가운데 로드킬도 포함됩니다. 특히 고라니로 인해 유발되는 로드킬 사고는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새끼고라니는 어미고라니에게서 자립하여 다른 서식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로드킬 사고가 많이 일어납니다. 특히 날씨가 따뜻해지는 3월부터 6월 사이에 유동인구가 늘고 자동차 통행량도 많아져 로드킬 사고 건수는 더 증가하고 있습니다.

 

1. 로드킬 사고 정의

로드킬 이란 도로를 건너는 동물이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에 치여 죽는 사고를 말합니다. 로드킬 당하는 동물 종류는 포유류부터 조류, 양서류, 파충류 구분 없이 그 범위가 넓습니다. 특히 고라니와 너구리, 멧돼지, 개, 고양이 등이 로드킬을 많이 당합니다. 제주도 같은 경우에는 노루가 많아 로드킬 당하는 노루도 많습니다. 해마다 수백마리에 이르는 노루가 로드킬로 인해 죽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로드킬은 종에 상관없이 무작위로 일어나기 때문에 수달, 담비, 삵 등과 같은 천연기념물이나 멸종위기 동물도 그 대상이 됩니다. 차량 통행량이 많은 도시에서는 최근 길고양이 로드킬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합니다.

 

 

2. 로드킬 사고 유발 요인 6가지

  • 도로증설로 인한 서식지 파괴
  • 녹지 및 산림 파괴
  • 등산로 개방
  • 과속 자동차 증가
  • 불법 밀렵으로 인한 서식지 이동
  • 도로 개설로 인한 생태통로 차단

 

차량 통행량이 많아지면서 그로 인해 도로도 많아지고 그만큼 동물들의 활동영역이 줄어들면서 로드킬 사고 건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도로가 많이 개통될 수록 그곳에 살던 동물 서식지가 없어지게 되고 새로운 서식지를 찾아 이동하는 도중에 로드킬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야생동물 번식이 활발한 5월과 6월 및 동절기를 앞두고 시작되는 먹이 활동으로 인해 10월과 11월에 로드킬이 자주 발생합니다.

 

옛날과는 다르게 고라니나 멧돼지를 잡아먹는 상위 포식동물이 있는 것도아니고 사냥이 무한정 허가된 것도 아니어서 개체수 증가를 따라잡을 수 없을 정도가 되어 해마다 그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간이 환경을 개발하면서 침범하는 자연의 영역도 많아지고 동물 개체수는 증가하면서 결과적으로 서식지가 줄어들어 새로운 번식지를 찾아다니다가 로드킬을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로드킬 예방하는 방법 5가지


(1) 야생동물 출몰지역 표지판 목격 시 서행 운전

(2) 주행 중 야생동물 발견시 천천히 주행하면서 전조등 끄고 경적 울리기

(3) 야생동물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밤 11시부터 새벽 3시 사이에 한적한 국도나 고속도로 등을 달릴 때 감속운전하기

(4) 야생동물이 갑자기 튀어나와도 핸들 조작하지 않기

(5) 국도나 산길에서 로드킬 회피를 위해 자발적 서행운전하기


하늘에서 날아와 떨어지는 고라니까지는 어찌할 수 없지만 최대한 조심할 수 있는만큼 조심해서 로드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번 로드킬 사고가 나면 자동차가 박살이 나는 것은 당연하고 살아있는 동물을 차로 치었다는 생각에 매우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로드킬 예방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우선 가장 기본은 서행 운전 입니다. 국도를 운전하다가 아래 그림처럼 사슴이 뛰어다니는 그림이 그려진 표지판이 보인다면 무조건 서행운전해야 합니다. 야간에는 특히 더 조심해야 됩니다. 가시거리가 짧은 밤에는 갑자기 도깨비처럼 야생동물이 튀어나와 로드킬을 당하는 사례가 빈번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천천히 운전한다면 그만큼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취할 수 있는 방법은 경적을 울리는 것입니다. 청각이 사람보다 훨씬 더 예민한 야생동물이 경적소리를 듣고 미리 피하도록 사전 조치를 취하는 것입니다. 헤드라이트 불빛을 보면 그 자리에서 돌처럼 굳어버리지만 경적소리는 잘 들리기 때문에 야생동물 출몰 지역에서는 경적을 울리면서 주행해 주세요. 특히 만약에 야생동물이 멀리서 보인다면 야간에는 전조등을 끄고 경적을 울려야 야생동물이 그 자리에 머무르지 않고 자리를 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로드킬 사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바로 핸들조작 금지 입니다. 야생동물이 전방에 갑자기 출현했다고 해서 당황해서 핸들을 돌리는 순간 차량이 전복하거나 다른 차량과 충돌하는 2차, 3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차라리 못 피할 것 같다 싶은 생각이 들면 그냥 들이받아버리는 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4. 로드킬 사고 발생시 대응 4단계

로드킬 사고를 최대한 피하고자 노력했지만 불가항력적인 이유로 도저히 피할 수 없어 어쩔 수 없이 야생동물과 박치기를 했다면 그다음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4가지 단계로 절차를 밟아나가면 됩니다.

 

(1) 운전자 안전 확보 후 동물생사 여부 확인

먼저 운전자가 2차 사고에 노출되지 않도록 안전을 확보한 다음 동물이 죽었는지 살았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살아있다면 체온 유지를 하면서 신고해 주시고 이미 죽었다면 직접 처리하려고 하지 말고 신고부터 하세요.

 

(2) 갓길 등 안전한 곳에 주차

로드킬을 했다고 길 한가운데 차량을 세우지 마시고 반드시 갓길 등 안전한 곳에 주차하시기 바랍니다.

 

(3) 안전삼각대, 경광봉 등 준비

로드킬 사고가 일어난 지점 근방 100미터 뒤쯤에 경광봉과 안전삼각대를 설치해 뒤따라오는 차량과 추돌사고가 나지 않도록 조치합니다.

 

(4) 비상등을 켜고 트렁크를 열어 주행하는 다른 자동차가 로드킬 동물을 우회해서 지나갈 수 있도록 해줍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의 안전입니다. 로드킬 당한 동물을 살피는 것도 좋지만 인간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그 또한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가장 먼저 안전을 생각하고 로드킬 사고 장소에서 조치를 취하시기 바랍니다.

 

 

5. 로드킬 신고 전화번호

로드킬 당한 동물이 죽었는지 살았는지 확인하고 생사 여부에 따라 연락해야 하는 곳이 달라집니다. 먼저 로드킬 당한 동물이 죽은 경우 입니다.

.

로드킬 때문에 동물이 죽는 사고가 고속도로에서 발생했다면 한국도로공사 1588-2504로 전화하시고 고속도로가 아닌 국도에서 일어났다면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먼저 누른 다음에 120 또는 128을 누르세요.

 

반대로 로드킬은 당했지만 다행히 살아있는 경우라면 해당 지역이 있는 행정구역을 파악한 뒤 아래 12개 연락처 가운데 한 곳으로 전화하시기 바랍니다.

 

 

  • 강원도 (033) 250-7504
  • 경기도 (031) 8008-6212
  • 충청북도 (043) 216-3328
  • 충청남도 (041) 334-1666
  • 대전광역시 (042) 821-7930
  • 전라북도 (063) 270-3774
  • 전라남도(061) 749-3898
  • 경상북도(054) 840-8250
  • 경상남도 (055) 754-9575
  • 부산광역시 (051) 209-2090
  • 울산광역시 (052) 256-5322
  • 제주광역시 (064) 752-9982

 

6. 로드킬 신고 요령

로드킬 당한 동물이 죽었을 때와 살았을 때 연락해야 하는 곳이 다르다는 것까지는 알았는데 전화 후 신속하게 출동요청을 하려면 신고 위치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합니다.

 

밤이라서 시야확보가 되지 않고 주변 지형지물 파악이 잘 되지 않는다면 지도어플을 사용하십시오. 현재 신고전화를 하고 있는 도로 이름이나 방향을 비교적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7. 로드킬 신고 연락처 정리

동물이 죽어있는 경우

◆ 고속도로가 로드킬 장소인 경우 : 한국도로공사 1588-2504

◆ 고국도 및 일반도로에서 로드킬 사고가 일어난 경우

   - 다산콜센터 : 지역번호 + 120

   - 환경부 : 지역번호 + 128

 

동물이 살아있는 경우

(서울)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02-880-8659

(부산) 낙동강 에코센터 051-209-2091

(대전)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042-821-7930

(충북)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043-216-3328

(충남)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041-334-1666

(전북)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063-850-0983

(울산) 울산대공원 052-256-5322

(전남) 순천시 환경보호과 061-749-4800

(광주)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 062-613-6651

(경기) 경기도 동물위생시험소 031-8008-6212

(강원)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033-250-7504

(경북) 경북 산림자원개발원 054-840-8250

(경남)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055-754-9575

(제주)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064-752-9982

 

 

8. 로드킬 신고 어플

그런데 위에서 소개한 전화번호로 로드킬 사고 발생 시 전화를 하면 애매한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는 한국도로공사에서 전담 관할하기 때문에 신고 및 처리가 간편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국도나 일반도로입니다. 

 

예를 들어 세종시 같은 경우에는 044를 누르고 120번을 눌러 로드킬 신고 전화를 걸면 사고 발생 지점을 물어봅니다. 만약 로드킬 사고 발생 지점이 시도인 경우에는 세종시에서 처리를 관할하지만 국도에서 로드킬이 발생했다면 국도는 논산국토관리사무소로 연결되지만 행복도시건설청이 공사 중이어서 완공되지 않았다면 행복도시건설청이 로드킬 신고 업무를 맡게 됩니다.

 

이렇게 복잡하면 신고자 입장에서는 앞으로 로드킬 사고를 보고 동물이 살아있어도 신고하는 것을 꺼려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경우 로드킬 신고 어플을 활용하는 것도 로드킬 신고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굿로드'라고 하는 어플인데 로드킬을 목격한 사람들이 신고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앱입니다.

 

 

9. 결론

자동차 사고로 로드킬이 발생했을 때 신고할 수 있는 전화번호 연락처와 굿로드 어플을 사용한 신고방법 및 로드킬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수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동물도 소중한 생명인 만큼 로드킬 사고가 나지 않고 잘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